Skip to main content

공공기관의 LED전자현수막&LED스크린 선택 요령

안녕하세요. 엔드비젼 코리아(ENDVISION KOREA)입니다. LED전광판의 구매 단계에 있는 기관의 담당자라면 생각보다 생소한 용어들, 그로 인한 정보의 불분명함과 혼동을 받으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는 도대체 어떤 LED전광판을 선택해야하는지, 어떤 업체를 통해서 구매를 해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연결되는 것이 당연합니다.

이러한 고민에 기준을 정해드릴 수 있는 기본적인 LED전광판 프로세스와 LED전광판 선택 요령에 대한 글입니다.






1. LED전광판 선택 요령 : 기본 용어의 이해

  • LED칩은 전광판의 빛을 생성하는 핵심 부품
  • LED칩의 품질에 따라 밝기와 색상 정확도 큰 영향을 미침
  • 효율적인 전력 소비와 안정성이 긴 수명을 보장함
  • 여러 개의 LED칩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하여 결합한 장치
  • LED모듈은 조명 효율을 극대화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됨
  • 열방출수명을 고려한 설계가 중요 포인트
  • 모듈, 전원장치, 리시빙카드를 캐비넷에 배열하여 제작된 구조물
  • LED스크린을 쉽게 설치&유지 보수 할 수 있게 함
  • 방수내구성을 갖추어 외부 환경에서도 안정적 작동
  • LED전광판의 신호와 색상 보정을 제어(control)하는 장치
  • 입력된 영상을 LED패널로 전송, 최적화된 출력 환경 제공
  • 정밀한 데이터 동기화&전송을 통해 고품질의 화면 유지





2. LED전광판 선택 요령 : 모듈 선택 – LED모듈별 픽셀피치비교

LED모듈은 픽셀의 간격에 따라 화소의 차이가 있습니다. 간격의 단위가 좁아질수록 더 선명하게 표출됩니다. LED전광판을 구성하는 LED모듈의 픽셀간격에 따른 선명도의 차이를 확인하세요.






3. LED전광판 선택 요령 : 거리에 따른 제품 선택

관제거리에 따른 픽셀피치 선정기준

  • 일반적으로 관제거리의 선정 기준은 ‘픽셀피치 * 2=적정관제거리’ 의 공식을 따릅니다.

Case 1 : 업장 외부 간판 쪽에 설치하여 30m정도 맞은편 거리의 보행자들에게 광고를 희망

Solution : 관제거리 공식에 의하면 해당 장소에는 최소 10mm 모듈 이상은 사용하는 것이 적절



Case 2 : 실내 회의실 전면에서 회의 자료 브리핑용으로 사용할 LED스크린. 가시거리는 최소 3미터 최대 8미터

Solution : 관제거리 공식에 의하면 해당 장소에는 최소 3mm 모듈 이상은 사용하는 것이 적절






4-1. LED전광판 선택 요령 : LED스크린 설치 프로세스의 이해






4-2. LED전광판 선택 요령 : 설치 방식 선택

사용자의 현장 여건에 맞춰 LED스크린은 설치되어야 합니다. 설치 방식은 대표적으로 6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벽면부착설치

가장 많이 보이는 형태의 설치 방식입니다. 벽면에 가공 프레임을 부착 후 그 위에 LED스크린을 거치 시키는 방식입니다.


     2. 벽면매립설치

벽면에 전광판이 들어갈 공간이 있어야 하며 이는 초기 인테리어 단계부터 설계가 반영되었어야만 설치가 가능한 형태입니다. 미학적으로는 가장 깔끔한 설치 방식이며 전면에서 AS가 가능한 제품이 선택돼야합니다.


     3. 행잉설치

전광판이 공중에 띄워지는 형태의 설치 방식입니다. 천장이 스크린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구조여야하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4. 양쪽기둥설치

LED스크린을 지지할 수 있는 기둥 구조물을 제품 양쪽 사이드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식입니다. 제품의 사이즈와 비율 선택에는 매우 유연하지만 지반, 여건에 따라서 구조물 설치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꼭 필요한 현장이 아니라면 추천하지않는 방식입니다.


     5. 한개기둥설치

LED스크린을 지지할 수 있는 기둥 구조물을 제품 중앙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식입니다. 마찬가지로 제품의 사이즈와 비율 선택에는 매우 유연하지만 지반, 여건에 따라서 구조물 설치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꼭 필요한 현장이 아니라면 추천하지않는 방식입니다.


     6. 바닥위설치

LED스크린을 지지할 수 있는 기둥 구조물을 제품 중앙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식입니다. 마찬가지로 지반, 여건에 따라서 구조물 설치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꼭 필요한 현장이 아니라면 추천하지않는 방식입니다.






4-3. LED전광판 선택 요령 : AS 방식 선택

LED스크린 제품 구매 시 가장 많이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 바로 AS입니다. 4-2. 설치방식에서도 간단하게 서술된 내용입니다. LED스크린은 뒤(후면)에서만 AS가 되는 제품이 있고 앞(전면)에서만 AS되는 제품이 있습니다.

″전면에서 설치하고
전면에서 AS하는 방식″

LED스크린의 전면 A/S는 유지보수 작업이 스크린의 전면(앞)을 통해서 이루지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모듈과 부품을 스크린 앞쪽에서 제거&교체할 수 있게 설계된 LED스크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간이 협소한 실내벽면에 고정된 스크린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 자석 또는 육각볼트방식을 사용하여 전면에서 쉽게 제거 가능
  • 공간 활용에 용이
  • 유지보수시 환경에 구애받지 않으며 제품 해체가 불필요하여 효율적
  • 구조물이 간단하여 외관상 미려한 효과
  • 후면에서 열배출이 되지 않아 열관리가 돼야함
  • 전면모듈 교체시 부품 손상 우려가 있음

″후면에서 설치하고
후면에서 AS하는 방식″

LED스크린의 후면 A/S는 유지보수와 부품 교체 작업이 스크린의 뒷면을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보통 설치된 스크린의 후면에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 사용되며, 주로 대형 야외 광고판이나 독립형 구조물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 모듈이나 부품 교체 시 스크린의 뒷면으로 접근해야함
  • 후면 공간이 확보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됨
  • 설치 후 스크린 전면이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내구성이 높음
  • 후면을 통해 열방출이 가능하여 스크린의 수명관리에 유리
  • 후면 접근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
  • 스크린 디자인에 제약이 있어 외관이 깔끔하지않을 수 있음





어쩌면 전문적이고 조금 어려운 내용일 수도 있겠지만 위 LED디스플레이 선택 요령에 대한 내용을 요약해보면

  1. 픽셀 간격에 따른 선명도에 대한 인지&현장적합한 모듈 선택
  2. 설치 현장에 따른 설치 방식 선택
  3. AS를 고려한 모듈 방식 설계

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것을 컨설팅 해줄 수 있는 LED디스플레이 전문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핵심 요령입니다. 여건에 따른 정확한 모듈의 설계와 설치 현장에 따른 최적화된 LED디스플레이를 원하신다면 기관을 끝까지 책임지는 엔드비전 코리아에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