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서론

LED 전광판은 설치 후 수년간 사용하는 장비이기에, 처음 설치할 때부터 꼼꼼한 확인과 정확한 시공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현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용어들, 예를 들어 플리커 현상무아래 현상패턴 현상 등은 단순히 기술적인 용어가 아니라, 실제 화면 품질과 직결되는 문제들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LED 전광판 설치 전후에 자주 마주치는 대표적인 문제 현상과 이를 이해하고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했으니, 전광판 설치를 앞두고 있다면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1️⃣ 플리커 현상(Flicker) – 화면이 깜빡이는 이유는? 👀

LED 전광판 설치 후 가장 많이 언급되는 문제 중 하나가 플리커 현상입니다.

플리커는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카메라나 영상 촬영 시 화면이 깜빡거리거나 줄무늬가 생기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최근 공공기관, 병원, 행정복지센터 등에서 전광판을 촬영하거나 송출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 현상이 더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

  • 낮은 주사율(Refresh Rate)
  • 불안정한 전류 공급
  • 카메라 주사율과의 불일치

예방 팁:

  • 고주사율 제품을 선택하세요 (예: 1920Hz 이상)
  • 특히 영상 촬영이 잦은 장소는 더 높은 사양을 권장합니다

2️⃣ 무아래 현상(Moiré) – 전광판을 촬영하면 왜 줄무늬가 생길까? 🎥

무아래 현상은 전광판을 촬영했을 때 화면에 격자무늬나 물결무늬처럼 보이는 시각적 착시 현상입니다.

카메라 센서의 픽셀과 LED 전광판의 픽셀 간격이 미세하게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이 현상은 영상 촬영용 전광판에서 특히 주의해야 할 요소입니다.

주요 원인:

  • 카메라와 전광판의 해상도 불일치
  • 픽셀 피치(Pixel Pitch)가 넓은 저해상도 전광판
  • 잘못된 촬영 거리 또는 각도

예방 팁:

  • **촘촘한 픽셀 간격(P1.5~P2.5)**을 선택
  • 고해상도 콘텐츠를 적용해 왜곡을 줄이기

3️⃣ 패턴 현상(Pattern Artifact) – 콘텐츠와 전광판의 불협화음 🤯

패턴 현상은 주로 저해상도 콘텐츠를 LED 전광판에 출력할 때 발생하는 문제로, 시각적으로 화면이 어색하거나 지글지글해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광판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콘텐츠 품질과의 조화 문제입니다.

주요 원인:

  • 저해상도 콘텐츠 사용
  • 반복되는 패턴 이미지
  • 낮은 색상 품질

예방 팁:

  • 고해상도 영상 또는 이미지 사용
  • 콘텐츠 디자인 시 패턴 이미지 지양
  • 색상 대비가 높은 콘텐츠는 테스트 후 적용

4️⃣ 설치 현장의 마감 상태, 그냥 지나치면 큰일! 🧱

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설치 환경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이슈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벽면이 울거나 기울어져 있으면, 아무리 고품질 전광판을 설치해도 전체 화면이 삐뚤어져 보이거나 빛 반사가 어색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 벽면 몰딩을 제거했더니 벽이 들쭉날쭉
  • 기구 높이와 전광판이 맞지 않아 재시공
  • 수평/수직이 맞지 않아 전체 정렬 실패

해결 팁:

  • 설치 전 마감 상태 철저 점검
  • 레이저 수평기, 수직기 사용으로 정밀한 설치
  • 사전에 설치 공간을 실측하고 시뮬레이션 진행

결론 ✨

LED 전광판은 단순한 화면 출력 장비가 아닙니다.
콘텐츠 품질, 화면 기술, 설치 환경이 하나로 조화를 이루어야만 비로소 완성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플리커무아래패턴, 그리고 현장 마감 이슈는 설치 현장에서 정말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입니다.
이러한 용어들을 이해하고 미리 대비한다면, 전광판 설치 후 생길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엔드비젼은 오랜 현장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설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전광판 설치를 원하신다면, 작은 용어 하나라도 놓치지 마시고 꼭 확인해보세요!